『유학을 보낸 후 가장 많이 듣는 말 – 다시 돌아가도, 또 보내겠다는 이야기였습니다』
유학을 보낸 지 2년, 처음엔 모든 게 낯설고 힘들었지만 지금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의 미래를 이야기하는 모습을 본 부모님들이 가장 많이 하시는 말입니다.
물론 쉽지 않았습니다. 낯선 환경에서 적응의 어려움도 있었고, 걱정과 갈등도 있었습니다. 때론 “내가 괜히 보낸 건 아닐까” 싶었던 순간도 있었을 겁니다.
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학을 “잘한 결정이었다”고 말하는 학부모님들에겐 몇 가지 공통점이 있었습니다.
“좋은 대학에 보내기 위해서”보다, “스스로 계획하고 책임지는 사람으로 성장했으면 좋겠다”는 방향이 뚜렷했던 가정은 훨씬 안정적이고 의미 있는 유학생활을 만들어갔습니다.
결국 유학은 성적보다도 “사람”을 키우는 과정이라는 걸 이해하고 계셨던 겁니다.
언어 장벽은 짧게는 6개월, 길게는 1년 이상 갈 수 있고, 초반에는 스트레스와 외로움을 겪는 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.
이런 현실적인 예상과 감정적 여유를 가진 학부모님들은 조급해하지 않았고, 학생도 부담 없이 자신의 속도로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.
유학을 “잘 보냈다”고 말하는 학부모님들의 공통점은 단 하나, 유학이 흔들릴 때마다 함께 고민하고 방향을 다시 잡았다는 점입니다.
홈스테이 변경, 학교 전학, 수업 선택 조정, 생활 상담 등 다양한 선택을 반복하면서, 학생이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 있었기에 유학이 끝까지 유지될 수 있었습니다.
보딩스쿨이든 홈스테이 유학이든, 그 환경에서 스스로 책임감을 갖고 움직일 수 있도록 유학피플은 끝까지 옆에서 조율하고, 필요하면 구조를 바꾸기도 했습니다.
첫 학교에서는 친구가 거의 없어서 힘들어했는데, 전학 후 완전히 달라졌어요. 스스로 계획 세우는 모습에 깜짝 놀랐습니다.
홈스테이 가정이 잘 맞지 않아 교체를 진행했는데, 지금은 정말 인생 가족처럼 지내고 있어요.
보딩에서 힘들어하던 때도 있었지만, 끝까지 버틴 그 경험이 지금 대학에서도 스스로를 밀어주는 힘이 됐습니다.
예전엔 발표 한 마디도 못 하던 학생이 지금은 발표 수업을 좋아한다는 말을 들었을 때, 유학 보낸 보람을 느꼈습니다.
유학을 보낼까 고민하고 있다면, 단순히 성적이 아닌 “학생의 변화 가능성”을 상상해보시기 바랍니다.
그 가능성을 현실로 만드는 과정을 유학피플이 함께 고민하고 안내해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