『외로움은 약점이 아니라, 유학생이라면 누구나 겪는 정상적인 반응입니다』
대부분의 학생들은 외로움을 드러내지 않아요. 수업도 잘 듣고, 생활도 문제없어 보여요. 하지만 밤이 되면 울거나, 아침에 밥을 못 먹는 일이 반복되죠.
실제로 어떤 학생은 “혼자 방에 들어가면 하루가 너무 길게 느껴져요”라고 말했어요. 스마트폰을 오래 보는 것도, 누군가와 연결되고 싶다는 신호였던 거죠.
“엄마한테 전화하면 괜히 울 것 같아서, 일부러 안 했어요.”
“친구는 많은데… 다 얕은 관계 같았어요.”
학교 상담 선생님은 말하지 않아도 아이의 기분 변화를 눈치챌 수 있는 유일한 어른일 수 있어요. 그래서 저는 학교 선정 시 상담 시스템이 얼마나 활성화돼 있는지도 꼭 체크합니다.
돔티처와의 짧은 대화, “오늘 표정이 어두웠더라”는 한마디가 아이들에게는 큰 힘이 됩니다.
그리고 부모님과의 전화는 무조건 “격려”가 중심이어야 합니다. “힘들면 언제든 말해”보다 “지금 잘하고 있어, 엄마가 알아”가 더 큰 위로가 됩니다.
1. 일기를 써보세요 – 감정은 적는 것만으로도 정리가 됩니다.
2. 매일 일정한 시간에 산책이나 루틴을 만들어보세요 – 하루의 리듬이 생깁니다.
3. “누군가에게 먼저 말 걸기”는 아직도 가장 좋은 처방입니다.
한 학생은 처음 3개월간 거의 매일 울었어요. 하지만 4개월째, 학교 밴드부에 들어가면서 전혀 다른 얼굴로 변했죠.
“내가 여기서도 할 수 있는 게 있다는 걸 알았어요.” 그 말이 아직도 기억에 남습니다. 외로움은 나아집니다. 환경이 아니라, 연결이 그 시작이죠.
외로움은 감춰야 하는 게 아니라, 꺼내야 덜어낼 수 있는 감정입니다.
학생이 누구와 연결되어 있는지, 누구에게 마음을 열 수 있는지.
그 한 사람이, 유학 초기를 바꿉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