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학생 비율이 높은 것도, 낮은 것도—모두 장단점이 있습니다.
상담 현장에서 학부모님들이 가장 많이 물어보는 질문 중 하나는 “그 학교에 한국 학생 많나요?”입니다.
국제학생 비율, 그 중에서도 한국인 학생 수는 실제로 학교 분위기와 학습 환경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.
하지만 단순히 숫자가 많다/적다로 좋은 학교를 판단하는 건 조금 다른 문제일 수 있습니다.
“영어를 많이 쓰고 싶어서 한국인이 적은 학교를 선택했는데, 적응 초반에 너무 힘들어 조기 전학을 고민했다는 이야기도 들어봤습니다.”
중요한 건 단순 숫자가 아니라, 학교가 국제학생을 어떤 구조로 받아들이고 있느냐입니다.
예를 들어 국제학생이 많아도 기숙사나 수업 조 편성에서 국적 분포를 조율해주는 곳은 충분히 영어 사용 환경이 보장될 수 있습니다.
반대로 외국인이 적더라도, 학교 전체가 유학생 지원 구조가 약하다면 초기 적응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.
국제학생 비율은 학교 선택 시 중요한 판단 요소 중 하나입니다.
하지만 절대적인 숫자보다, 학교 안에서의 배치 구조, 수업 운영 방식,
그리고 무엇보다 학생의 성향과 적응 스타일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.
같은 비율도 누구에겐 장점, 누구에겐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.
그래서 학교를 선택할 때는 단순 수치보다 ‘나에게 어떤 환경이 맞을까’를 먼저 생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